top of page

​의 생명 과학 교실 연 보

DECEMBER 2017

About
Treatment
Contact

“의생명과학교실, 연보 발간을 기념하며..”

다사다난했던 2017년이 이제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바쁜 걸음을 잠시 멈추고, 올 한해 지나 온 발자취를 돌아보고, 앞으로 계획을 생각해 보는 시간입니다.

 

울산의대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의생명과학교실이 설립된 지 이제 8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이 지났습니다. 그리고 이제 15명의 교수를 가진 제법 큰 과로 성장하였습니다.

 

울산의대 의생명과학교실의 연구 지향점은 사람의 질병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분자생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더불어 미래의 대한한국 생명과학계를 이끌고 갈 의생명과학자를 양성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의생명과학교실 교수진은 최선의 노력을 해왔고, 그 결과물들을 한 데 모아서 연보를 발간하려고 합니다.

 

혹자는 현재의 연구 결과물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작은 연구 결과물들이 수 년 후에 아주 중요한 연구 근거가 되는 것을 우리는 수없이 보아왔습니다. 또한 아직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은 많은 중요한 연구 결과들이 추가 연구를 통하여 발표될 것을 저는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인간 질병의 미해결 과제를 극복하고자 우리가 노력하여 왔으며, 앞으로도 노력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2017 의생명과학교실 연보는 우리의 노력의 발자취이자 앞으로 우리의 성장과 약진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의생명과학교실 주임 교수 김민선

주임 교수 인사말

의생명과학교실 목표

개요

의생명과학교실 운영현황 (2016.01~ 현재)
의생명과학교실 운영위원회
연구 및 저술활동
교육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교실은 세계적인 의학교육의 추세에 맞추어 연구 부분을 강화하고 특화된 대학원 교육을 담당하기 위하여 2009년에 제 11대 학장으로 재임중이던 이재담 교수에 의해 신설되었다.

2009년 9월 세포생물학을 전공한 장은주 교수가 최초로 신규 임용되었고, 이후 2010년 9월 강상욱, 최순철 교수가, 같은해 12월에는 김헌식, 최은영 교수가 조교수에 신규 임용되었다. 2011년 9월에는 신동명,장성욱,최경철 교수가, 12월에는 송영섭 교수가, 2012년 9월에는 강민지, 같은해 12월에는 장수환 교수가, 2013년 3월에는 이창환교수가 조교수에 신규 임용되었다. 2013년 9월에는 이명섭 교수가 부교수로 임용되었고, 12월에는 손재경교수가 조교수로 임용되고 2016년에는 김용섭 교수가 임용되어 현재 교실 소속교수는 15명에 이르고 있다. 역대 주임교수로는 2009년부터 2014년 2월까지 비뇨기과의 주명수 교수가, 2014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췌담도외과 김송철 교수가 그 직을 맡았으며, 2016년 내분비내과의 김민선 교수가 주임교수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그 직을 맡고 있다.

​연혁

가.학부과정

의학과 2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연구실습과정,(총3학점)에 참여하여 1년간 연구 지도를 담당하고 있다.

나. 대학원과정

대학원 공통과목으로는 <고급세포 생물학Ⅰ,Ⅱ>와 <고급연구방법론 Ⅰ,Ⅱ>를 개설하여 본 교실의 교수들이 강의에 모두 참여하고 있다. 전공과목으로는 장수환 교수가 <종양생물학특론>을 매년 1학기에 개설하여 종양세포생물학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강의를 하고 있으며, 매년2학기에는 장은주 교수가 <면연세포학특론>을 개설하여 면역학에 대한 최신 지견 습득 및 연구 기법에 대한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전공선택과목으로 매년 1학기에 이명섭교수가 종양면역학 특론을 개설하고, 이창환교수도 매년1학기에 <단백질대사 특론> 영어강의를 개설하여 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와 함께 매 학기 각교수의 전공과 관련된 주제로 새로운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본 교실은 그 특성상 연구와 대학원 교육 활동이 중심이 되고 있다.

 

2009년 9월부터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Nature, Cell, Science 급의 저명한 저널에 연구논문을 게재하고 각 전공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쌓은 교수들을 임용하기 시작하여 현재 15명의 교수가 속해있다.

임용초기부터 한국연구재단,보건복지부 등 총 71여건에 이르는 외부 국책연구비를 수주하여 연간 58억원 가량의 연구비를 바탕으로 활발한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장은주교수는 뼈미세환경 내 다양한 분비인자들에 의해 유도되는 골수 내 세포들의 이동 및 부화에 관한 연구를 통한 osteoimmunology 분야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강상욱 교수는 생화학적 연구 기법을 바탕으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합성 및 folding에 기인한 질병들 특히 대사성 질환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순철 교수는 다양한 세포와 양서류 초기 배아를 이용하여 세포의 분화, 성장, 이동 등의 세포현상을 통제하는 중요신호(Wnt, TGF-beta, FGF)의 전달 기전을 규명하고 있으며, ▶김헌식 교수는 암세포, 바이러스 감염세포의 제거에 핵심적인 NK cell, Macrophage의 다양한 면역수용체를 통한 활성화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최은영 교수는 뇌신경 세포생물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새로운 염증 조절 분자를 발굴하여 이들의 병리 작용 및 기전을 규명하고 있으며, ▶신동명교수는 다양한 줄기세포들(VSEL, 조혈모세포)의 genome-wide 유전자발현 지도 및 후생유전체학적특성을 연구하여 줄기세포 특성을 조절하는 분자-생화학적기전을 규명하고자 하며,▶장성욱 교수는 암세포 전이 및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과 종양성장에 필요한 혈관형성 매개체의 작용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최경철 교수는 Epigenetic 관점에서 종양세포의 사멸을 유도할수 있는 신규 단백질 발굴, 단백질 기능을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송영섭 교수는 당뇨병 병인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굴,기능,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 및 기전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강민지 교수는 초파리를 이용한 유전자 기능 분석을 통해 Endoplasmic Reticulum(ER)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사멸 기전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장수환교수는 BRCA1유전자의 돌연변이 기능  및 발현조절 기전과 microRNA-155의 암 대사조절기능 연구,그리고 환자유래 이종이식모델을 이용한 항암후보물질과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창환 교수는 단백질의 항상성 조절에 관련된 ubiquitylation 조절 기전 연구를 통한 병인 단백질 발굴을 목표로 연구 진행하고 있으며,▶이명섭 교수는 종양 및 감염 질병의 원인과 기전을 면역학적 접근법으로 규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새로운 질병 치료법, 특히 면역 세포치료법, 유전자 편집 치료법 개발을 도모하고 있다. ▶손재경교수는 종양세포의 대사 기전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항암제 발굴을 위한 치료 타깃 제시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용섭 교수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기반으로 한 DNA non-coding region에 대한 기능 연구를 목표로 하며 이를 유전자 가위 및 스크리닝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교실 소속 교수들은 교실 개설 이후 현재까지 Nature Biotechnology, Circulation, Molecular Cell, Nature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JACC. Cardiovascular imaging 등 SCI급 학술지에 대한 281여 편의 논문을 게재 하였고, 세계적 권위의 저널에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에 몰두하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기초 연구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울산대 의과대학 연구우수교수상 및 Bric 선정 2016년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Top5에 두 개부문에 선정되었다. 또한 교내 연구자들 간 교류를 통해 연구 시너지를 창출하고 국내의 저명한 연구 그룹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개방적인 연구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하며 국제적인 연구 역량을 쌓는데 주력하고 있다.

○ 교육 (별첨1)

- 대학원생: 39명

- 의과학대학원생 research fair 매년 개최

- 의학연구실습 과정: 7명

- 조교: 1명

- 포스닥 및 연구교수: 6명

- 고급세포생물학 (I, II), 고급연구방법론 (I, II), 암생물학개론, 면역세포생물학,

의과 학 입문 (I, II), 분자신경발생학 특론, 종양면역학 특론 등

 

○ 연구비 (별첨2)

- 교내 연구비: 28억

- 교외 연구비: 58억

 

○ 연구 (별첨3)

- 연구원 주체 ‘연구기법 workshop’및 중개교류 symposium 참여

- 임상의와의 공동연구: 47건

- 2016.01부터 현재까지 공동저자 포함 102편/ 교신저자 81편 (IF 합 540) *한빛사 등재 논문 4건 포함

- 대외 활동: symposium 개최(3건), 세미나 초청 (20회), 원내 세미나 (80회 이상)

- 분자의학연구단 및 정기 세미나 운영

- 아산생명과학연구원 연구단 활동 (연구자 디렉토리 참조)

○ 미래 의학을 주도할 중개의과학 분야의 실무형 창의인재 양성 및 실무형 중개연구 네트워크 구축과 활성화를 목표로 함

 

1) 특화된 중개연구를 수행할 창의적 리더쉽을 가진 중개의과학자 양성

2) 치료핵심 개념을 도출하고 임상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형 중개의과학자 양성 체계 구축

3) 연구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상조적 기초-임상 연구 네트워크 구축

4) 미래 의학의 치료핵심 도출과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의학 발전 주도

© 2023 by Modern Mindful Therapy. Proudly created with Wix.com

2017년 교실원 현황(임용일 기준)

bottom of page